10월 15일 정부에서 또 한번 주담대 규제를 발표했습니다.
그 내용은 정말 충격적인데요.
무려 25억 원 초과 주택의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2억 원으로 확 줄어버렸거든요.
고가 주택을 잡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담겨있는 정책이라고 하지만,
많은 분들이 "내 집 마련 꿈이 더 멀어졌다"며 불안해하시더라고요.
핵심은 지금부터 이 세 가지 규제를 정확히 알고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겁니다.
특히 당장 내일부터 적용되는 내용이 있으니
지금부터 저랑 같이 하나씩 꼼꼼하게 뜯어보시죠!
핵심 규제 1. 주택 가격별 대출 한도 '차등화'
이번 대책에서 가장 충격적인 부분은
바로 주담대 한도가 집값에 따라 달라진다는 거예요.
이제까지는 6억 원이 최대 한도였지만,
15억 원을 초과하는 주택부터는
대출 금액이 확 줄어듭니다.
수도권 및 규제지역 내 주택 구입 목적 주담대에 적용됩니다.
집이 비쌀수록 대출 한도를 더욱 강력하게 제한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구체적인 한도는 이렇게 정리됩니다.
아래 내용을 꼭 기억해두셔야 해요.
-
15억 원 이하: 최대 6억 원 (현행
유지)
-
15억 초과 ~ 25억 원 이하: 최대
4억 원
- 25억 원 초과: 최대 2억 원
25억 원이 넘는 주택을 매수하려는 분들은
이제 현금이 23억 원 이상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사실상 '현금 부자'에게만 고가 주택 거래를 허용하는
초강력 규제라고 볼 수 있어요.
핵심 규제 2. DSR 옥죄기
은행에서 대출을 받으신다면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피할 수 없는 산이죠.
이번 대책에서는 이 DSR 계산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두 가지 변화가 생겼습니다.
기존 대출 금리에 가산하는
스트레스 금리의 하한이 1.5%에서 3.0%로 올랐습니다.
차주의 실제 이자 부담이 달라지는 건 아니지만,
대출 한도가 계산상으로 더욱 줄어들게 됩니다.
제가 직접 해보니까,
이 스트레스 금리 3.0% 적용만으로도
기존 계획했던 대출 금액이 꽤 많이 줄더라고요.
대출을 앞두고 계시다면
이 부분을 꼭 염두에 두고 계산하셔야 합니다.
📌 1주택자 '전세대출'까지 DSR에 반영 (10월 29일 시행)
이제
갭투자를 막기 위한 조치로 전세대출까지 DSR에 포함됩니다.
다만, 무주택자는 여전히 예외지만, 이미 집을 한 채 소유한 1주택자가
수도권/규제지역에서 전세대출을 받는 경우에 적용돼요.
1주택자가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 수요를 차단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전세대출의 이자 상환분을 차주의 DSR에 반영하여
추가 대출 한도를 줄이게 됩니다.
핵심 규제 3. 고강도 추가 대출 제한 조치
대출을 전방위적으로 옥죄는
다른 규제들도 함께 발표되었는데요.
특히 직장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신용대출과
재개발/재건축 관련 대출에도 변화가 생겼습니다.
📌 신용대출 1억 원 초과 사용하면?
무려 신용대출을 1억 원 넘게 받은 경우,
대출 실행일로부터 1년간은
규제지역 내 주택을 구입할 수 없어요.
이 조치는 신용대출을 '영끌'하여
집값 상승에 베팅하는 행위를 막기 위한 것이죠.
📌 새로 지정된 규제지역의 LTV는?
이번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 일부 지역이 규제지역으로 묶였는데요.
해당 지역에서는 LTV(주택담보대출비율)가
기존 70%에서 40%로 확 낮아집니다.
✅ 신용대출 1억 초과: 1년 동안 규제지역 주택 구입 금지
✅ 규제지역 LTV: 70% → 40%로 대폭 축소 (신규 규제지역 한정)
✅ 전세대출 보증비율: 수도권/규제지역 한정 90% → 80%로 축소
다주택자에게는 취득세 중과도 적용되는 등
이번 대책은 투기 수요를 잡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줍니다.
초보자 현명한 재테크 대응 전략
이번 주담대 규제 강화 내용을 보니 정말 혼란스럽고 당황스럽죠?
특히 처음 집을 사려는 초보자에게는
더욱더 넘기 힘든 장벽처럼 느껴지실 거예요.
하지만 핵심은 흔들리지 않는 원칙을 세우는 겁니다.
현금이 부족하다면 무리한 대출 대신
차분히 시드머니를 모으는 데 집중하시죠.
1. 현금 확보: 대출 의존도를 낮추고 비상금과 실거주 자금을 충분히 확보하세요.
2. DSR 관리: 신용대출 등 다른 대출을 최소화하여
주담대를 받을 수 있는 여력을 최대로 남겨두세요.
3. 정확한 정보: 매번 바뀌는 규제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제는 정부 정책에 맞춘 전략이 성공적인 내 집 마련의 지름길이에요.
오늘 정리해드린 내용을 꼭 기억하시고
모두 현명하게 대응하시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궁금한 점이나 경험담이 있다면 댓글로 언제든지 공유해주세요!
이 글은 일반적인 재테크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개별 투자 권유나 보장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 결정과 그에 따른 손익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jpg)





